클라우드67 [테라폼] WSL에서 Ubuntu 22.04로 Terraform 여는 방법 1. cmd창에 wsl 설치(Ubuntu 22.04)wsl --installwsl --install -d Ubuntu-22.04 2. wsl입력 wsl# WSL에서 Ubuntu로 들어가는 방법 sudo -i 비밀번호 생성 및 입력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y gnupg software-properties-common curl# 필요한 패키지 업데이트 및 설치 curl -fsSL https://apt.releases.hashicorp.com/gpg | sudo apt-key add -# HashiCorp의 GPG 키 추가 sudo apt-add-repository "deb [arch=amd64] https://apt.releases.hash.. 2024. 8. 6. [도커] 도커 실습 전 VMWare 환경 구성 도커 실습 전 VMWare 환경 구성 초기 설정 완료한 모습 Edit virtual machine settings에 들어가서 ISO 이미지 삽입 NAT 설정 초기 설정에서 다 만진 후 모습 VMWare 실행 후 설정 클론 뜨기 MobaXterm에 SSH로 붙는 방법ip ad 친 후에, ens33의 ip 정보 확인 후, MobaXterm에 입력 3차 미니 프로젝트...... 2024. 8. 5. IT 백과사전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8. 5. [AWS] S3, CloudFront, Route 53 및 ACM을 활용하여 정적 웹사이트 호스팅 하는 방법 1. 정적 라우팅 2. CloudFront 배포 생성3. Route53으로 돌아가서 Alias 설정 4. 등록해둔 도메인 접속 확인 1. 정적 라우팅*'loginwebbucket' 파일을 버킷에 생성해둔 상태Amazon S3 > Buckets > loginwebbucket 클릭 후 Propoerties 맨 밑에 있는 Static website hosting Edit 클릭 설정 후 2. CloudFront 배포 생성 S3 버킷이 퍼블릭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아직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는 상태임이를 해결하기 위해 Route 53과 ACM을 사용하여 CloudFront를 통해 적절한 도메인 주소로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하기이때 S3 버킷을 선택하고 'Use website endpoint'를 선택함 'U.. 2024. 8. 5. [AWS] 가비아 도메인과 Route 53 및 ACM을 사용한 SSL 인증서 설정 방법 1. 가비아 도메인 구매2. Route53에서 hosted zone 생성하기3. 가비아 들어가서 도메인 통합 관리툴 선택4. AWS에 생성된 주소로 가비아 네임서버 설정 수정 5. ACM에서 SSL 인증서 발급 6. ACM 생성 후, Hosted Zone "Create record" 7. CNAME 유형으로 생성되었는 지 확인 후 Create records in Route 53 8. Route53에 CNAME 등록되었는 지 확인 9. ACM 정상 발급 확인 1. 가비아 도메인 구매jungwon.store 2. Route53에서 hosted zone 생성이미 생성된 가비아 주소 활용Route 53 > Hosted Zones > Create hosted zone 클릭 및 정보 입력 3. 가비아 들어가서.. 2024. 8. 5. 이전 1 ··· 10 11 12 13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