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02 [Linux] NTP 시간 실시간 동기화 실패 시 해결 방법 / timedatectl (수정) 상황: Linux 서버의 시간을 한국 시간으로 맞추어 두었지만,시간이 실시간 동기화가 되지 않음 1. 리눅스 서버의 시스템 시간대(Timezone)를 한국 표준시(Asia/Seoul)로 설정 sudo ln -sf /usr/share/zoneinfo/Asia/Seoul /etc/localtime 0. timedatectlNTP 동기화가 제대로 되지 않음 1. ping 8.8.8.8정상 작동 2. ping google.com통신 불가 확인 3. /etc/resolv.conf 에 내용 추가nameserver 1.1.1.1nameserver 8.8.8.8 : DNS 서버를 지정해서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기 위함! 4. ping google.com 재시도통신 확인 5. /etc/chrony... 2025. 6. 11. [LINUX] 키 파일 형식을 pfx로 변경하고 비밀번호까지 변경하는 방법 0. .key 파일 형식은 있지만, pfx 형식으로 변환해야 하는 상황개인키 파일: korea.key인증서 파일: korea_cert.crt인증서 체인 파일: korea_chain_cert.crt만들고자 하는 PFX 파일: korea.pfx cat 명령어 사용해서 파일 조회했을 때-----BEGIN PRIVATE KEY----- 로 시작하면 개인 키 -----BEGIN CERTIFICATE----- 로 시작하면 공개 인증서 1. linux 서버에 개인키, 인증서, 인증서 체인 파일 업로드 2. pfx 파일 생성 openssl pkcs12 -export -out korea.pfx \-inkey korea.key \-in korea_cert.crt \-certfile korea_chain_cert.crt .. 2025. 5. 29. [AWS] EC2 AMI 이미지 삭제하는 방법 0. AWS Backup 자동 백업본 삭제바로 삭제하면 아래와 같은 오류가 남! 1. 볼트에서 복구 시점 삭제 Backup > 볼트 > Default > 복구 시점 2. AMI에서 자동 삭제 되었는 지 확인*삭제 안되었다면, 기다렸다가 수동으로 처리 3. 볼륨도 자동 삭제 되었는 지 확인*삭제 안되었다면, 기다렸다가 수동으로 처리 4. 위 절차를 따라했어도, AWS Backup의 작업에는 기록이 남는 게 맞음!말 그대로 '작업의 결과'이기 때문에 AMI 이미지를 삭제한다고 해도, 기록이 남는 것은 맞다 2025. 5. 26. [SSMS] MSQL서버 sa 계정 생성 및 활성화 방법 1. 계정 생성 1. SSMS 에 접속 후 DB 연결 1. sa 계정 활성화 Security > Logins > sa > Properties > Status > Enabled 2. sa 계정 비밀번호 설정 2. 계정 활성화 1. 새로 고침 2번 정도 > DB명 우클릭 > Properties 2. SQL 로그인 활성화Security > SQL Server and Windows Authentication mode 3. 다시 시작 DB명 우클릭 > Restart 연결 해제 및 재연결 (sa로 로그인) 4-1. Disconnect 4-2. Connect 4-3. 로그인 4-4. 연결 완료!! 2025. 5. 20. [AWS] EC2 종료 방지 기능 해제 후 삭제하는 방법 기존에 종료 방지 기능을 활성화한 EC2를 삭제하는 방법!! 1. EC2 종료 방지 기능 해제해당 인스턴스 선택 > 작업 > 인스턴스 설정 > 종료 방지 기능 변경 -활성화로 체크 되어 있는 항목 비활성화로 변경! 2. EC2 삭제-평상시처럼 삭제해주면 됨! 2025. 5. 20. 이전 1 2 3 4 5 6 7 ··· 21 다음